도메인 개인정보는 공개되어 있다
HostingKR, Whois, 가비아 등의 사이트에서 도메인을 구입했으면 개인정보보호 서비스를 한번은 봤을 것이다. 도메인 개인정보보호는 추가요금이 들기 때문에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추가로 설정하진 않는다.
그렇다면 돈을주고 추가로 설정하는 도메인 개인정보보호란 무엇일까? 그리고 꼭 필요할까?
도메인 개인정보를 숨겨야하는 이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서비스하는 후이즈 서비스에서는 모든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
KISA 후이즈검색 whois.kisa.or.kr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자원 검색(후이즈검색) 서비스 입니다.
xn--c79as89aj0e29b77z.xn--3e0b707e
예를 들어 내가 가지고 있는 maxlog.kr 도메인을 검색해보자.
도메인을 구입할 때 입력했던 내 개인정보가 만천하에 노출되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내가 이미지 작업을 통해 지워놨지만 원래는 내 집주소부터 전화번호까지 그대로 공개가 되었다.
도메인 정보 숨기는 방법
나는 HostingKR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하지만 대부분의 도메인 회사들이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만약 이 글을 읽으신다면 사용하는서비스 대시보드에서 비슷한 워딩의 메뉴를 찾으면 된다.
먼저 대시보드에 개인정보 보호와 개인정보 숨김 기능을 찾는다.
그런데 잠깐 메뉴가 2개다. 하나는 보호고 하나는 숨김이다. 둘의 차이가 뭘까?
1. 도메인 개인정보보호
도메인 개인정보보호 서비스란 도메인 등록정보(WHOIS)에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는 경우 별도 비용을 받고(1,200원) 등록정보를 호스팅케이알의 정보로 대신 노출해주는 것이다.
즉 아래와 같이 노출된다.
2. 도메인 개인정보숨김
그렇다면 숨김은 뭘까? 숨김은 무료서비스다. 즉 도메인 정보에서 내 개인정보만 가려준다. 이름과 이메일 주소는 노출되지만(책임자) 위에서 내 집주소와 전화번호까지 노출시키는것에 비하면 아주 양반이다.
3. 도메인 정보 설정 방법
위 대시보드에서 숨김, 보호 둘 중 하나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노출된다. 만약 숨김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비공개 라디오 버튼을 클릭하고 저장을 누르면 끝난다. 매우 간단하다.
개인정보보호 기능을 사용한다면 결제를 해야한다.
결론
개인정보보호 : 유료서비스 내 개인정보대신 도메인 대행사 회사 정보가 노출됨
개인정보숨김 : 무료서비스 이름과 이메일은 노출되지만 상세 정보는 미노출
각 목적에 맞게 셋팅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숨김정도만 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이 글을보고 도메인 개인정보가 노출되고 있다는걸 아는 분들도 있을 것 이다.
내 회사 혹은 개인정보가 노출되기전 빠르게 설정해주자.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YNSvc.exe 은 어떤 파일일까? (0) | 2025.02.21 |
---|---|
[IT기획자의 AWS] EC2 인스턴스 한 번에 여러 개 만드는 법 (0) | 2025.02.19 |
로또, 연금복권 온라인으로 사는 방법(모바일, PC) (0) | 2025.02.16 |
다크웹에 유출된 개인정보 찾는 방법 (0) | 2025.02.15 |
TightVNC Service는 어떤 프로그램일까? 삭제해도 괜찮을까? (0) | 2025.02.13 |